▲ 국회 앞에 설치된 '내놔라 공공임대' 농성텐트에 붙은 팻말. |
|
|
2022년도 다사다난한 한 해였습니다. 홈리스를 괴롭히는 코로나19의 기세는 여전하고 윤석열 정부가 집권한 첫 해이기도 하죠. 이번 홈리스뉴스에서는 2022년에 어떤 이슈가 있었는지 되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|
|
|
1. 여전히 존재하는
1. 노숙인진료시절 지정제도 |
|
|
국가인권위원회가 노숙인진료시설 지정제도를 폐지할 것을 권고했습니다. 하지만 보건복지부는 폐지를 확답할 수 없다며 여전히 현실을 외면하고 있습니다. |
|
|
지난 4월, 영등포 소재의 고시원에서 발생한 화재 참사로 2명의 목숨을 앗아갔습니다. 영등포소방서는 스프링쿨러에 대해 언급했지만 근본적인 대책은 그것이 아닙니다. 사람이 사는 모든 거처에는 '최저주거기준'이 도입되어야 합니다. |
|
|
코로나19의 확산으로 홈리스의 상황은 더 열악해졌습니다. 하지만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노숙인복지 종합계획은 여전히 홈리스를 시설에 가두려고만 합니다. 우리에게는 시설 중심이 아닌 주거 우선의 대책이 필요합니다. |
|
|
4. 임대주택 신청을 마친
4. 용산역 텐트촌 주민들, 하지만 |
|
|
6월에는 용산역 텐트촌에 거주하던 네 명의 주민들이 오랜 싸움 끝에 드디어 임대주택 입주 신청을 마쳤습니다. 모두 용산구청의 소극행정으로 늦어지게 된 것인데요, 문제는 주택 물량 부족으로 이들이 언제 입주하게 될지는 미지수라는 점입니다. |
|
|
7월에는 서울역 광장에 설치된 노숙용 텐트와 물품이 무단으로 폐기되는 일이 있었습니다. 여러 행정기관들이 합심해서 벌인 짓인데요, 법에 따른 절차위반을 지적하자 기관들은 책임을 떠넘기기에만 급급합니다. |
|
|
6. "쪽방 사람은 앉는 자리가
7. 따로 있더라니까" |
|
|
오세훈 서울시장의 기조 '약자와의 동행'의 일환으로 시행된 동행식당. 쪽방 주민에게 하루 한끼를 제공하는 사업인데요, 돈의동 동행식당에서 '쪽방주민'과 '일반손님'의 자리를 구분하는 정황이 포착되었습니다. |
|
|
지난 7월, 고시원 거주자 A씨는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고도 반나절 이상의 시간을 거리에서 보내야 했습니다. 코로나19에 감염된 A씨가 갈 수 있는 곳이 서울 시내에 단 한 군데도 없었기 때문이다. 재택치료가 불가능한 홈리스 확진자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 합니다. |
|
|
2023년의 예산안을 발표하면서 '약자 복지'를 강조한 윤석열 정부.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습니다. 윤 정부의 2023년 주거취약계층 대책을 살펴보았습니다. |
|
|
▲ "대화 없는 동행은 허구다"라는 내용의 피켓을 들고 있는 모습 |
|
|
지난 9월, 서울시청에서 쪽방주민 결의대회가 열렸습니다. 동자동, 돈의동, 양동, 그리고 창신동의 주민 발언을 한번 살펴볼까요?
"약자와의 대화없는 약자와의 동행없다! 서울시는 쪽방주민 목소리에 응답하라!" |
|
|
폭우참사 이후 윤석열 정부는 주거취약계층 해결책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. 하지만 돌아온 건 30%나 삭감된 주거복지 예산안이었습니다. |
|
|
홈리스행동
Homeless Action
후원계좌: 국민은행(홈리스행동) 533301-01-121461 |
|
|
|
|